반응형 전체 글65 올림픽과 함께 발전한 과학 기술의 역사 part.2 인터넷 보급과 특수를 누린 나가노 동계올림픽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은 인터넷 보급의 특수를 누렸다. 올림픽 조직위원회(IOC)는 공식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선수 소개와 공식 기록을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당시 캠페인이던 자연보호 관련 자료를 업로드하여 홍보에 힘을 썼다. IOC 뿐만 아니라 선수들도 자신들의 홈페이지를 만들어 팬들과 소통을 시작했다. 이처럼 인터넷이 일반화 되면서 소통의 창구가 늘어났으며, 일방향 적인 소통을 하던 올림픽이 팬들과 함께 양방향 소통이 가능하게 되었다. 1998년 당시 가구별 인터넷 보급률이 10% 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가구별 인터넷 보급률이 90% 육박하게 되었다. 디지털 카메라의 등장과 스마트폰의 보급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디저털 카메라.. 2023. 3. 29. 올림픽과 함께 발전한 과학 기술의 역사 part.1 1896년 제1회 그리스 아테네 올림픽 이후 120년에 걸쳐 계속되는 근대 올림픽은 전세계인의 스포츠 축제인 동시에 놀라운 기술과 서비스가 등장해 다양한 혁신을 낳았다. 그리고 2020년 도쿄 올림픽·패럴림픽까지 치룬 현재, 올림픽과 함께 발전한 과학 기술의 역사를 되돌아 보자. 생중계와 컬러 방송의 등장 1960년 이탈리아 로마 올림픽은 최초로 생중계가 진행된 올림픽으로 기록되었다. 로마 올림픽의 하이라이트는 에티오피아 국적의 아베베 비킬라 선수가 운동화 없이 맨발로 마라톤에서 우승한 장면이었다. 이 장면은 유럽의 18개 국가에 생중계 되었으며 미국, 캐나다, 일본에는 1시간 지연 방송 되었다. 이후 위성 방송의 등장과 더불어 중계 기술의 발전으로 지구촌 축제인 올림픽은 220개국에 생중계 되고 있다... 2023. 3. 29.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의 근대 체육사 일본 체육의 아버지 히다카 후시요시로 일본의 체육사가 기록되기 시작한 시점은 막부시대 말기인 1800년대 후반이다. 전장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고 돌아온 히다카 후시요시로는 일본인의 신체적 한계를 일찌감치 느꼈다. 타고난 체격이 작아 다른 아시아 국가보다 전투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통감하여 체육을 기본 과목으로 한 사관학교인 문무강습관을 개설 하였다. 본인의 사재를 투입하여 만든 이 강습관은 현재의 성성 중,고등학교가 되었다. 이에 그치지 않고 히다카후시는 체육회를 창설하여 일본 체육의 뿌리를 튼튼하게 다졌다. 일찍이 서양에게 문호를 개방했던 일본은 체육의 중요성을 타 아시아 국가보다 먼저 체감하고 있었다. 19세기 서양 강대국들의 제국주의가 아시아에 영향을 행사하고 있을 때, 일본의 메이지 유신은 국가의 .. 2023. 3. 27. 근대올림픽 부활을 이끈 쿠베르텡과 브룩스 쿠베르탱의 관심으로 부터 시작된 근대올림픽의 시초우리가 아는 근대 올림픽은 1898년 올림픽 탄생지인 그리스의 아테네에서 개최되었다. 제1회 올림픽 대회 (olympic games) 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근대 올림픽 개최의 최대 공신은 프랑스의 피에르 드 쿠베르탱 이다. 스포츠에 관심이 많았던 쿠베르탱은 고대 올림픽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종합운동경기대회를 개최했다. 그가 이렇게 스포츠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그친것이 아니라, 대회까지 개최할 수 있었던 것은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기 때문이다. 그는 영국의 공공학교에서 이뤄지는 스포츠 교육에 관심을 가지면서, 프랑스 또한 영국 처럼 스포츠를 교육에 도입해야 된다고 생각했다. 이처럼 프랑스의 스포츠를 통한 교육 개혁을 주장했던 쿠베르탱은 훗날 국제올림픽위원회 (I.. 2023. 2. 19.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17 다음 반응형